본문 바로가기

해외 문화

할로윈 데이(HALLOWEEN DAY)


할로윈 데이(HALLOWEEN DAY)


안녕하세요. 수원 놀이식 영어유치원 베라키즈 공식블로그입니다. 이번에는 할로윈 데이가 다가오는 만큼, 할로윈에 대해서 한 번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양의 풍속이지만, 우리나라에서도 이제는 제법 잘 알려진 행사로 “할로윈 데이(HALLOWEEN DAY)”라는 행사가 있습니다.


할로윈 데이는 일반적으로는 “할로윈”이라고 쓰고 있지만, 외래어 표기법으로는 “핼러윈”으로 쓰이고 있기도 합니다.


“할로윈 데이, 양력 10월 31일”


할로윈 데이는 영미권에서 펼쳐지는 행사로 매년 양력 10월 31일에 벌어지는 축제입니다. “HALLOW”라는 단어는 앵글로색슨어로 “성인(SAINT)”를 뜻하는데요. “모든 성인 대축일 전야제”를 뜻하는 “All Hallows’ Eve(ning)”이 줄어서 “할로윈(HALLOWEEN)”이 되었습니다.


11월 1일은 만성절(萬聖節)이라고 불리는 기독교의 축일로 가톨릭에서는 “모든 성인 대축일”, 성공회에서는 “모든 성인들의 축일”로 알려져있습니다.


그래서 할로윈은 이러한 “만성절”의 전야제로, 만성제라고도 불립니다.



“할로윈 행사의 유래는?”


이러한 할로윈 데이는 어디에서 온 것일까요? 여러 기원이 있는데, 그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설로는 “고대 켈트족”이 죽음과 유령을 찬양하며 벌인 “서우인(Samhain)” 축제에서 비롯되었다는 설입니다.


켈트인들은 일년이 열두달이 아닌 열달로 이루어진 달력을 사용했고, 한 해를 딱 4개의 기념일로 구분했는데요. 이 네 개의 기념일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한 해의 마지막이자 새해의 시작인 10월 31일의 서우인 축제였습니다. 이후 이 축제는 서양의 기독교 문화에 의해 기독교화되었다는 것이 정설입니다.


“할로윈 데이에 귀신 분장을 하는 이유는?”


할로윈 데이라고 하면 함께 떠오르는 것이 바로 “귀신 분장”입니다. 이렇게 할로윈 데이에 귀신 분장을 하는 이유는 따로 있습니다.


켈트족은 현재 12월이 있는 달력과는 달리 10개월이 있는 달력을 사용했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11월 1일을 새해 첫날로 생각했다고 합니다.


여기에 켈트족은 사람이 죽어도 그 영혼은 1년 동안 다른 사람의 몸 속에 있다가 내세로 간다고 믿었습니다. 그리고 한 해의 마지막 날인 10월 31일에 죽은 자들이 앞으로 1년 동안 자신이 몸 속에 있을 상대를 선택한다고 믿었습니다.


이에 살아있는 사람들은 똑같이 귀신 복장을 하고 집안을 차갑게 만들어 죽은 자의 영혼이 자신의 몸 속에 들어오는 것을 막으려고 했다고 하는데요. 이것이 귀신분장을 하게 된 시작이라고 합니다.



“할로윈 데이의 잭 오 랜턴(JACK-O-LANTERN)”


할로윈 데이하면 함께 떠오르는 호박이 있기도 합니다. 이는 “잭 오 랜턴”이라고 불리는 호박등인데요. 호박의 속을 파내고 도깨비의 얼굴을 새겨 넣어 만든 장식품입니다.


마치, 도깨비의 눈이 번쩍거리는 것 같은 무서운 표정을 만드는 것이 관건이지요.


잭 오 랜턴에 대한 기원은 옛날에 술을 잘먹고 교활한 잭(Jack)이라는 사람이 악마를 골탕먹이고 죽었는데, 이에 앙심을 품은 악마가 그를 천국에도, 지옥에도 가지 못하게 하여, 잭은 결국 아일랜드의 추운 날씨와 암흑 속에서 방황하게 되었습니다.


너무 추운 날씨에 그는 악마에게 사정하여 숯을 얻어 순무 속에 넣고 랜턴 겸 난로를 만들어 온기를 유지했다고 하는데요. 이것이 바로 호박등, “잭 오 랜턴”에 얽힌 이야기입니다.


“할로윈 음식”


할로윈 데이 역시도 축제 중의 하나이기에 음식이 빠질 수 없습니다. 할로윈 데이에는 할로윈의 상징인 호박을 이용한 호박 파이, 쿠키, 컵 케이크 등을 만들어서 먹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하는데요.


특이하게도 할로윈 데이의 음식은 먹고 싶지 않은 생각이 들정도로 오싹하게 만드는 것이 특징이라고 합니다.


△ 할로윈 데이에 받아온 사탕을 엄마가 다 먹었다고 한다면?


“할로윈 데이 노래 TRICK OR TREAT”


할로윈 데이가 되면 아이들은 분장을 하고, 이웃집을 돌아다니며, 노래를 부르면서, 사탕이나 초콜릿 등을 얻기도 합니다. 이 때 부르는 노래가 바로 “TRICK OR TREAT”인데요.


여기에서 “TRICK”은 “장난, 속임수”를 의미하고, “TREAT”은 “과자 등의 보상”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지요.


“TRICK OR TREAT”의 노래 가사는 아래와 같습니다.



Trick or treat smell my feet,

Give me something good to eat,

if you don't I don't care, I'll put down my underwear.


과자를 안 주면 장난칠 거야,

내게 먹기 좋은 것을 줘,

그렇지 않으면, 팬티를 확 내려버릴 테지.


“베라키즈 수원 영통원”


주소 : 경기도 수원시 영통동 1117번지, 성현빌딩 2층

전화번호 : 031-202-0506

홈페이지 : http://www.verakids.co.kr

이메일 : verakidssuwon@gmail.com

카카오톡 플러스 상담 : https://pf.kakao.com/_zdbxbT/chat

운영시간 : 8:30 - 5:30 (월 - 금)